등산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등산 장비는 든든한 동료와도 같습니다. 올바른 장비 선택은 안전하고 즐거운 산행을 보장해줍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등산 초보자들이 꼭 알아야 할 필수 장비와 선택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길을 찾는 도구(Navigation)
등산에서 길을 잃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도와 나침반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지도는 산의 지형과 주요 지점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나침반은 방향을 정확히 잡아줍니다.
요즘은 GPS와 스마트폰 앱도 많이 사용되는데, 자신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산행 전에 사용법을 익히고, 예비 배터리를 챙기는 것도 잊지 마세요.
2. 조명(Lighting)
산행 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조명 도구는 필수입니다. 헤드램프는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밝기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고, 방수 기능과 깜빡임 기능이 있는 제품을 추천합니다.
3. 자외선 차단 도구(Sun Protection)
등산은 야외 활동이므로 자외선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선크림과 립밤을 사용해 피부와 입술을 보호하세요. 자외선 차단지수(SPF) 30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고, 3시간마다 덧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선글라스도 필수입니다. 자외선 A, B를 99% 이상 차단하는 제품을 선택하세요.
4. 칼과 수선 도구(Knife & Repair Kit)
등산 중에는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칼은 음식 준비, 응급 처치, 용품 수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수선도구는 테이프, 슬링, 바늘과 실, 케이블 타이 등을 준비하세요.
5. 응급처치 도구(First Aid)
응급처치 도구는 외상과 내상 치료를 위한 약과 물품이 포함됩니다. 소독약, 연고, 붕대, 거즈 등을 준비하고, 지사제, 소화제, 진통제 등 내복약도 챙기세요. 알레르기약과 벌레 물림 치료제도 필요합니다.
6. 여분의 식량(Extra Food)
비상 상황에 대비해 조리가 필요 없고 열량이 높은 비상식량을 준비하세요. 견과류, 사탕, 초콜릿, 시리얼, 말린 과일이나 육포 등이 좋습니다. 비상식량은 간식이 아니므로 밀봉하여 배낭 깊숙이 넣어두세요.
7. 여분의 물(Extra Water)
하루 산행에서는 2리터 이상의 물이 필요합니다. 체내 수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식욕부진, 두통, 어지럼증, 근육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물은 산행 중 수시로 섭취하고, 장기 산행에서는 식수를 구할 수 있는 장소를 미리 확인하세요.
8. 여분의 의류(Extra Clothes)
비상시 보온을 위한 여분의 의류를 준비하세요. 보온 재킷, 속옷, 양말, 모자, 장갑 등을 포함합니다. 젖었을 경우를 대비해 여분의 옷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비상용 쉘터(Emergency Shelter)
비상용 쉘터나 판초우의, 알루미늄 블랭킷 등을 준비하세요. 비, 눈,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장마철이나 겨울철에는 특히 중요합니다.
10. 불(Fire)
비상 상황에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라이터나 초소형 스토브를 준비하세요. 핫팩이나 보온병도 유용합니다.
기타 도구
휴대폰, 무전기, 호루라기, 보조배터리, 위생 도구, 해충차단제 등도 필요합니다. 산행의 방식에 따라 필수 도구의 중요도는 바뀔 수 있습니다. 가장 안전한 산행은 필수 도구의 활용이 최소화되었을 때임을 기억하세요.
선택 기준
등산 장비를 선택할 때는 목적, 장소, 신체, 가격을 우선에 두고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다음 성능, 무게, 부피 등을 고려하세요.
1. 목적(Purpose):
산행의 목적에 따른 장비를 선택하세요. 당일 산행인지, 하루 이상의 산행인지, 걷는 거리는 어떠한지 등을 고려합니다.
2. 장소(Place):
산행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합한 장비를 선택하세요. 산행 장소의 지면, 형태, 날씨, 동식물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3. 신체(Physical):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장비를 선택하세요. 키, 몸무게, 상하체의 크기, 손발의 형태, 더위와 추위를 느끼는 정도 등을 고려합니다.
4. 가격(Price):
비싸다고 모두 좋은 장비는 아닙니다. 예산에 맞는 장비를 선택하세요.
5. 성능(Performance):
통기성, 속건성, 방수성, 보온성 등 장비의 성능을 고려하세요.
6. 무게(Weight):
장비 각각의 무게와 배낭 전체의 무게를 고려하세요. 가벼울수록 좋지만, 사용 빈도와 범용성을 염두에 두고 고릅니다.
7. 부피(Volume):
장비의 부피를 고려하여 배낭에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이상의 내용들은 등산 초보자를 위한 설명이었으나 경험자들도 늘 가슴에 새겨둬야 할 사항입니다. 이와 같은 기준을 통해 등산 장비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즐거운 산행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