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조발표 / 산악사고 예방을 위한 국립등산학교 역할과 과제

기조발표-산악사고-예방을-위한-국립등산학교-역할에 대한 표

기조발표
산악사고 예방을 위한 국립등산학교 역할과 과제

『국립등산학교 표준등산교재』 발행 의미를 중심으로

민병준
국립등산학교 교장

  1. 국립등산학교 현황
  2. 2024년『국립등산학교 표준등산교재』 발간 의의
  3. 국립등산학교 산악안전 관련 영상 제작 현황
  4. 국립등산학교 산악안전 훈련 현황 및 만족도 조사 결과
  5. 전국 민·관 산악구조 관련 단체와 협업 현황
  6. 산악구조 기술 향상 위한 국립등산학교의 향후 과제

1. 국립등산학교 현황

1-1 국립등산학교 임무

국민을 위한 안전하고 건전한 등산·트레킹 문화 확산 및 활동 지원
등산·트레킹 교육 및 국제협력 등 정보 네트워크 구축
안전하고 건전한 등산·트레킹문화 확산과 발전을 위한 조사·연구·홍보
전문산악인 양성·지원 및 조난구조 기술개발과 교육·훈련

1-2 국립등산학교 연혁
2018. 08. 01. 국립등산학교 초대 교장(엄홍길) 취임
2018. 12. 05. 『국립등산학교』개교
2021. 05. 25. 『국립등산학교 인공암벽장』개장
2023. 11. 1. 제4대 교장(민병준) 취임

1-3 국립등산학교 조직
1교, 3실(교육지원실 2명, 교육운영1실 2, 교육운영2실 3)

1-4 안전산행 지원 위한 2024년도 국립등산학교 교육 현황
등산 전문 교육과정 커리큘럼 개선을 통한 수준별 학습 운영
– ‘암·빙벽 등반’, ‘산악구조 직무연수’ 수준별(초·중급) 학습과정 운영(1~10월)
– 스포츠클라이밍 기초교육과정 운영(2~11월, 33회)
* 유치원, 청소년, 성인 대상 당일(1시간) 운영(10월 기준, 348명)

등산사고 예방을 위한 대상별 교육과정 운영
– 숲길 일반관리원(숲길종사자, 숲길등산지도사, 숲해설사) 안전사고 예방교육
* 구조장비 운영법·매듭법·응급처치법 및 숲길 노선관리 방안(3~11월, 10월 기준 172명)

산악구조대(민간산악구조대·산림항공구조대) 구조 교육(3~10월)
– 전국 17개 시·도 민간산악구조대 및 산악구조 관련 단체 대상 현장실습 교육
* 숲길 내 조난, 실종, 추락사고 대비 구조법(경사지, 계곡구조 등) 및 수색법(10월 기준 782명)
– 산림항공구조대 구조기술 습득 및 능력배양 교육(8월, 연인원 70명)
– 산악구조 경진대회 및 세미나 개최로 구조기술 확산·공유 기회 제공
* 전국 민·관 합동 산악구조 경진대회(6월, 700명) 및 등산사고 예방 세미나 개최(11.14)

등산사고 예방 영상 제작
– 계절별, 등산·트레킹 유형별 안전사고 예방교육 영상 제작
* 염좌 등 응급처치, 등산사고 신고요령, 매듭법, 인공암벽장 사고분석 등 4편 제작·홍보

산림교육전문가 및 산림레포츠 전문가 양성과정 운영
– 숲길등산지도사 전문과정(4~7월, 1회), 산림레포츠지도사 양성과정(4, 9월, 2회)
* 숲길등산지도사 : 총 9회 161시간, 산림레포츠지도사 : 총 10일, 75시간

국립등산학교 표준등산교재 발간

– 국민의 안전하고 올바른 등산·트레킹 문화 확산 및 안전사고 예방

2. 2024년 『국립등산학교 표준등산교재』 발간 의의

2-1 배경

– 등산교육 품질 향상을 위한 커리큘럼 개선 및 표준교재 필요
– 등산·트레킹 안전사고 예방 및 등산 관련 백과 교재의 학습 방향성 위한 대중적 표준교재 필요
– 표준등산교재 제작 및 배포를 통한 국민의 안전하고 올바른 등산·트레킹 문화 확산 및 안전사고 예방

2-2 세부 내용
학습 교재의 특징을 담은 표준등산교재
– 구성 : 12부(등산기초, 등산 기술, 암벽등반, 산의 환경 등), 38장 / 512p
– 각 장별 교육목표, 학습하기, 정리하기, 생각하기 등 학습 과정 안내
– 무게 단위 표기법, 등산·트레킹 용어 통일 등 표준화

표준등산교재 전문성 제고를 위해 철저한 제작·검증
-분야별(등산·등반·산림 등) 전문 필진 구성을 통한 전문성 및 신뢰도 증진
-책임편집자 고용을 통한 출판·인쇄 전 과정 참여로 효율적인 제작과정 추진
-집필위원회(3회), 출판위원회(2회), 감수위원회(2회) 및 관련 회의 운영을 통한 표준등산교재의 공정성 확보 노력

표준등산교재 무료 배포를 통한 국민의 산악 안전의식 확대
-국·공립 도서관(1,700여권) 발송 및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및 출판예정도서목록(CIP) 발급을 통한 국립중앙도서관·국회도서관 영구적 자료 보관
– 속초·양양지역 청소년 대상 고교학점제 박람회를 통한 표준등산교재 홍보
– 전자책(e-book) 제작 및 누리집 배포를 통해 전 국민이 환경적 제약 없이 자유롭게 열람 가능해 안전 등산 확대 기여

2-3 향후 계획
표준등산교재의 지속적 보완 및 개정을 위한 노력 지속
-집필진, 감수·출판위원회 등 전문가 등과 표준등산교재 제작과정·내용 등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과 지속적 모니터링 후 정기적으로 내용 반영

중등용 표준등산교재 『등산과 야영』 제작(2024.12.13.)
– 3부(산림의 이해, 등산의 이해, 야영의 이해) 13장으로 재구성 및 편집
– 속초양양교육지원청과 연계 고교학점제 『등산과 야영』 주제로 고등학생 대상 등산·트레킹 공교육 추진

3. 국립등산학교 안전 관련 영상 제작 현황(’20~’24)

4. 국립등산학교 산악안전 훈련 현황 및 만족도 조사 결과

4-1 추진배경

국가차원의 등산교육 고도화 및 체계적인 교육 환경 조성
세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한 향후 과제 도출

4-2 숲길관리원 안전 교육 현황 및 만족도조사 결과

※ 전체 만족도조사 결과(교육생 190명 중 125명 응답, 응답률 65.7%) – 교육내용(날짜/시간), 강사, 교육환경(시설/기자재), 수업지원(연락/출석), 수업만족도 등

4-3 산악구조 관련 교육 현황 및 만족도 조사 결과

□ 2024년 국립등산학교 산악구조대 교육(총 13회차) / 종합 평균 93.5점

□ 2024년 국립등산학교 산림항공구조대 교육 만족도조사 결과

※ 전체 만족도조사 결과(교육생 439명 중 290명 응답, 응답률 66.1%) – 교육내용(날짜/시간), 강사, 교육환경(시설/기자재), 수업지원(연락/출석), 수업만족도 등

5. 전국 민·관 산악구조 관련 단체와 협업 현황

5-1 국립등산학교 구조 훈련 협업 민·관 산악구조단체 현황(2024년 현재)


□ 국립등산학교 협업 민·관 산악구조단체 현황 리스트(2024년 현재)

※2023~2024년 산악구조 경진대회, 산악구조대 교육, 세미나 관련 단체

○ 과제
– 일반 산악 안전 관련 단체 및 조직 참여 확대

○ 대상
– 대한산악연맹·한국산악회·한국대학산악연맹 산하단체, 전국 대학산악부 회원 – 한국등산학교, 코오롱등산학교, 서울등산학교, ER등산학교 등 전국 등산학교 강사 – 전국 일반 전문 등반 산악단체 회원

6. 산악구조 기술 향상 위한 국립등산학교의 향후 과제

□ 구조기술 개발 및 교육·훈련을 위한 전문가 양성 및 네트워크 강화

○ 효율적인 등산사고 대응 매뉴얼 개발을 위한 민·관 합동 세미나 운영
* 현장 대응 매뉴얼 작성 및 협력방안, 관련 기관과의 네트워킹 활성화 방안 주제


○ 국민의 안전한 등산·산림레포츠 활동 지원을 위한 기술교류 협력 세미나 운영
* 드론, 웨어러블, 모바일 앱,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차세대 산악구조 장비 도입과 활용방안 주제

○ 최신 산악구조 기술 및 장비 접목한 산악구조 교육 계획 수립 및 경진대회 운영

○ 민·관 합동 산악구조경진대회 확대 운영 및 구조기술 교육 표준화 모델 개발
* 계절별·대상지별 횟수 조정 및 모니터링 통한 구조기술 교육 표준화 모델 개발

○ 민·관 합동 국제 산악구조경진대회 개최를 위한 시범운영 및 확대계획안 수립

○ 각종 산악 구조 관련 단체 구조 기술 및 협업 논의 위한 정례 모임

○ 민·관 합동 산악구조 페스티벌 운영 및 외국 산악구조대 초청계획 수립
* 기관 및 민간인 참여확대를 위한 세부계획안(대회 종목 및 평가기준안) 마련
* 외국 산악구조대(미국 등) 초청 및 산악구조 기술 교류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